1910년대 시문학 특징
.동인지 중심의 활동이 가장 활발,외국문학 번역,소개
.개화가사,창가형식,저항<이상주의적=시대상과 교훈;최남선>=시적사유의 밀도나 개성 無
.태서문예신보<김억>;최초의 문예주간지-해파리의 노래,봄은 간다
-문예지 간행 순서-
1905.만세보;
1908.소년;최남선[해에게서 소년에게]
1910.매일신보;최초의 근대소설,이광수[무정]
1919.창조;주요한[불노리-새로운 자유시,최초의 순수문예 동인지,언문일치확정]
1920.개벽;김억,김소월,이상화,현진건.<신경향문학과 긴밀>
1920.폐허;염상섭,황석우,김억,오상순<퇴폐,낭만>
1921.장미촌;최초의 시동인지,자유시의 선구,낭만주의,퇴폐 방종화,박영희,변영로
1922.백조;퇴폐,보들레르의 방종,현진건,나도향,이상화,홍사용,박종화,순수문예 동인지,낭만.
1924.영대;김소월,주요한,김억,전영택
1920년대
순수서정시 지향,주관주의,감상주의<세기말적 퇴폐풍조 유입,3.1운동실패의 비애,절망
시의 예술성과 서정성발견,지향
시인과 독자의 관계성립
프로레타리아 문학 등장<프로문학 운동-실패
한용운<님의 침묵,알수 없어요,불교의 형이상학적 내용을 여성적 호흡과 리듬으로 형상
1930년대
.시어에 대한 자각 구체화
.김영랑;개성적 정서를 한국적 운율로 재구성<새로운 운율 창조>
.현대적 감성으로,한국적,동양적인 멋과 정감의 세계를 왕래,새로운 매력,방법제시
.모더니즘 개척<도시와 기계문명 시각화,시의 깊이 있는 내용 결여,인간감정 경시>
.1930년대 말엽;모더니즘에 대한 반동<문학이 건조해지고 형식화된 시기>
-생명파;인간과 생명의 문제에 관심
유치환[생명의 서,바위,깃발-생명의 본질]
-청록파;-비인간화된 세계에 대한 반항,저항,자연,전통,빼앗긴 고향 노래
-일제말의 문화적 암흑기에 중요한 시사적 의미를 갖는다.
[문장지]; 박두진<서구적,기독교적,종교의식> 박목월<자연,향토적>
조지훈<불교적,신의경지>
*재래의 시관과 방법 재음미,전통적인 시 정신과 새로운 자연과
생명의 리듬을 찾으려고 함,자연미 재발견,국어미의 순화
생명원천의 이데아 추구
윤동주[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];식민지의 인텔리가 겪는 정신적 고통과
인간자체의 생명적 아픔을 순수하고 섬세한 표현으로 노래
이육사[청포도,광야<미래>],자오선 동인,혁명가 시인
아름답고 장엄하면서 남성적인 호쾌한 어조
1940년대
.해방공간에서의 시대적 어려움속에서 한국시의 전통과 기반을 튼튼히 지켜주었다.
유치환,서정주-생명파,인간과 생명.박두진,조지훈,박목월-청록파,자연,생명의 리듬
1950년대
전쟁시,시니시즘<냉소주의>리리시즘<서정주의>주류
1960년대
.현대시의 이론적 실체를 획득
'문학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학의 이해/문학의 속성과 예술의 기원 (0) | 2008.07.24 |
---|---|
국문학 개론 정리(3) (0) | 2007.06.18 |
국문학 개론 정리(2) (0) | 2007.06.18 |
국문학 개론 정리(1) (0) | 2007.06.18 |
한국 현대 소설의 흐름 (0) | 2007.06.03 |